본문 바로가기

BUSINESS/클린룸

[CLEAN ROOM] 클린룸 HACCP 공장 , 개념부터 보수·설계까지

안녕하세요 클린룸 및 드라이룸 전문 기업 듀파인입니다.

HACCP에 관하여 들어보신 적 있으신가요?

거의 대부분의 분들이 이 인증에 관하여 보거나 들어보셨으리라 추측됩니다.

 

오늘은 HACCP의 개념과 HACCP 공장 설비에 관하여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HACCP이란, 위해요소분석(Harzard Analysis)과 중요관리점(Critical Control Point) 의 약자로

위해요소 중점관리기준이라고 합니다.

 

식품의 원재료부터 제조과정에 이르기까지 생물학적 화학적·물리학적 유통 및 조리 단계를 거쳐
소비자가 최종적으로 섭취하기 전까지 각 단계에서 발생할 우려가 있는 위해요소를 규명하고
이를 중점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중요 관리점을 결정하는 자율적/체계적/효율적인 관리로
식품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과학적인 위생관리 체계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미국, 일본, EU, 국제기구(CODEX, WHO, FAO)에서도 HACCP을 적용할 것을 적극 권장합니다.

 

그러므로 미생물 오염 방지 및 증식이 어려운 환경을 조성하고, 이물의 혼입을 방지하는 등

생산환경 관리의 시스템을 중시하는 대응의 위생적 구조가 필수적입니다.

 

①기능적 공간 구축

CIM[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화 및 FA[Factory Automation]화로

쾌적한 작업 공장과 명쾌한 동선 계획, 365일 24시간 대응이 가능한 기능적 공간을 구축해야 합니다.

 

②경제적 식품 공장

맨파워[Manpower]이용으로 에너지와 운영비를 절감하여, 경제적으로 효율성이 있는 공장이 구축되어야 합니다.

 

③유연성있는 공간

라인 변경에 대응할 수 있는 공간과 구조, 유틸리티 계획이 있어야하며,

기술혁신과 장래 확장을 고려한 구획과 배치 계획이 수립되어 유연성있는 공간으로 구축해야 합니다.

 

④환경대응 공장

청결하고 신뢰감 있는 기업 이미지를 표현 할 수 있는 명확한 외관과

주변 환경과의 조화 및 녹화 계획, 환경보전이 가능한 공장을 구축해야 합니다.

 

요약하면, HACCP 공장의 설계는

위해 요소 파악이 잘되며 중점관리점과 한계기준이 설정된다고 하더라도

기본적으로 합리적 근거에 의한 제조법과 설계가 선행되고, 오염의 침입과 증식배제 살균조치가

될 수 있는 공장이 설계되어야 합니다. 또한 설치된 기계설비가 검증되고 보증 가동됨이 입증되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신규 공장의 설계 혹은 기존공장의 개·보수 시 고려되어야 할 큰 포인트들은 위 목록표를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이렇듯 HACCP 공장 설비에는 수 많은 고려사항들이 있기때문에 시공업체 선정도 꼼꼼하게 따지는 것이 중요합니다.

 

 

듀파인에서는 공장 목적에 따른 최적의 커스텀 설비를 제공해드립니다.

041-555-2781

견적 및 문의 언제나 환영합니다.

 

감사합니다. 듀파인이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