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USINESS/드라이룸

2021년 하반기, 충남 드라이룸[Dry Room]시공 과정

안녕하세요 HVAC의 선두주자 듀파인입니다.

현재 진행중에 있는 드라이룸 공사 진행과정 사진입니다.

 

 내부 에폭시 작업

에폭시 작업 재료
먼지 유입 방지용 비닐 칸막이
에폭시 작업 전/후의 모습

작업 재료를 준비하고 룸 내부의 먼지 유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비닐 칸막이를 설치한 후에

작업을하면 깔끔하게 에폭시 작업이 진행됩니다.

룸 내부의 에폭시 작업은 다음의 순서로 진행됩니다.

 

1차-프라이머 작업

2차-에폭시 중도 작업

3차-에폭시 상도 작업


에어타이트 도어 - A/T Door

에어타이트 도어 설치
에어타이트 도어 흠집 방지 가림막

특수제작된 에어타이트 도어입니다.

에어타이트 도어는 이름 그대로 공기가 유입되거나 밖으로 새어나가지 않도록 하는 문이기때문에

굉장히 무겁고, 도어에 장착된 강화유리 또한 망치를 던져도 깨지지 않을 정도로 단단합니다.


덕트

덕트 양중 작업


 

풍도

상부에 연결된 덕트가 있기때문에 위 사진의 공간으로 공기가 들어가서 외부로 배출됩니다.

레지스터

원형 표시해둔 부분은 레지스터입니다.

레지스터에서 제습기를 거친 후 펀칭막 안으로 Air를 보내는 구조입니다.

R.A [Return Air] 덕트
R.A [Return Air] 풍도타공
O.A[Outside Air] 외부 제습기 공기를 실내로 유입
E.A[Exhast Air] 실내에서 외부로 오염된 공기 배출
제습기 덕트 연결 마감


 

등 전기 입선작업

 


실외기 배관 연결

압력 테스트
냉매배관 용접 작업

냉매배관을 꼼꼼하게 용접한 후 외부의 실외기로 연결합니다.

용접이 완료되면 배관에 이상이 없는지 약 일주일 간의 압력 테스트가 진행되며

배관에 이상없음이 확인되면 실외기와 연결합니다.

실외기
동관 실외기 연결


전도성타일

전도성타일 시공 작업이 완료된 드라이룸의 모습입니다.

룸 내부는 매우 건조하기때문에 전도성타일을 작업하지않으면 정전기가 생기게됩니다.

드라이룸에서 정전기 방지가 되지 않을 경우 실험 시 큰 위험을 초래하거나

상품의 불량률을 높이기때문에 드라이룸과 클린룸 등에는 전도성타일이 시공되고 있습니다.

접지부분 표시

공사완료 후 콘센트가 들어오면 접지를 연결하여 전류가 빠지게 사용할 수 있도록 접지를 표시해두었습니다. 

 


풍도 및 그릴

풍도 및 그릴 설치
그릴


릴리프 댐퍼 - Relief Damper


릴리프댐퍼 설치 모습

릴리프댐퍼는 실외의 오염공기가 드라이룸에 유입되어 오염됨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합니다.

사진처럼 내부에 압이 찰 경우에 릴리프댐퍼의 뚜껑이 오픈되며 공기를 밖으로 빠져나가게 합니다.

 


제습기


 

 

주식회사 듀파인은 설계부터 시공, 유지보수까지 함께하는 클린룸 및 드라이룸 전문기업입니다.

업력에서 나오는 자사만의 공조 노하우로 최적의 커스터마이징 시공을 약속드립니다.

 

시공 및 컨설팅 문의 T 041 555 2781

 

 

감사합니다.

 

 

'BUSINESS > 드라이룸'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년 하반기, 충남 드라이룸[Dry Room]시공 완료  (0) 2021.12.21
드라이룸 알아보기  (0) 2021.07.07